소유권은 파일이 사용자의 소유임을 나타내는 속성이다. 파일이 생성되는 순간 파일을 생성한 사용자와 그룹이 소유권을 가지도록 설정된다.
파일 소유권은 chown(change owner) 명령어로 변경할 수 있다.
chown [옵션] 사용자[:그룹] 파일
과 같은 형태로 사용한다.
사용자 부분에는 사용자 이름을 입력하고, 소유 그룹을 변경하려면 사용자 이름 뒤에 콜론을 붙이고 사용자 그룹 이름을 입력한다. 파일 부분에는 소유권을 변경할 파일 이름을 입력하고, 여러 파일을 공백으로 구분해서 입력할 수 있다.
chown에서 자주 사용하는 옵션은 다음과 같다.
옵션 | 설명 |
---|---|
-R | 지정한 디렉토리와 그 하위 항목의 소유권을 전부 변경한다. |
-v | 변경된 파일과 디렉토리 정보를 출력한다. |
-c | 실제 변경된 항목만 출력한다. |
normal_file 이라는 이름의 일반 파일을 하나 생성한다.
chown 명령어로 소유자를 dog로 바꿔보자.
그러면 권한이 없다는 오류가 발생할 것이다.
sudo를 사용하자.
사용자 그룹도 변경해보자.
해당 파일에 어떤 행위를 할 수 있는지 정의한 것으로, 읽기/쓰기/실행 3가지 종류가 있다. 멀티 유저 시스템인 리눅스에서는 파일 소유자(user), 소유 그룹(group), 일반 사용자(other) 별로 권한을 따로 설정한다.
d는 디렉토리를 의미하는 것이라 빼고 보면 된다. rwx가 파일권한을 나타내는 것이며, 순서대로 읽기/쓰기/실행 권한이다. 처음 rwx는 소유자, 다음 rwx는 소유 그룹, 마지막 rwx는 일반 사용자에게 적용되는 권한이다. 권한이 있으면 rwx로 출력되나, 없는 권한이 있으면 하이픈으로 출력된다. 위 디렉토리를 보면 소유 그룹이나 일반 사용자에 대해서는 쓰기 권한인 w가 없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