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수는 데이터를 담는 그릇이다. 변수에 저장하는 데이터는 값이라고 부르며, 변수의 이름으로 사용하면 그 값을 사용하는 것과 같다. Bash의 변수는 종류에 상관 없이 값을 변경할 수 있다.(동적 타입이라고 한다.)
Bash에서 변수를 저장하는 방법은 등호를 사용한다.
변수_이름=값
이 때, 등호 좌우로 공백은 없어야 하며 값을 할당한다고 한다.
값은 큰따옴표나 작은따옴표로 감싸도 되고, 감싸지 않아도 된다.
보통은 값을 큰따옴표로 감싸는 것이 일반적이며, 큰따옴표나 작은따옴표로 감싸는 것을 쿼팅이라고 한다.
NEW_VARIABLE=”hello”
변수 이름을 지을 때는 다음과 같은 규칙이 있다.
변수를 사용할 때, 변수별로 ID가 있어야하는데 변수의 ID는 그 이름이다.
변수를 사용할 때는 변수 이름을 중괄호로 묶고 가장 앞에 $를 붙인다. 혹은 중괄호를 생략하고 변수 이름 앞에 $만 붙여도 동작한다.
실습에 사용할 script 디렉토리를 사용자의 ~(home)디렉토리 아래에 만들자. 그리고 VAR라는 이름의 변수에 ‘value’라는 값을 저장하자.
VAR를 중괄호를 사용해서 출력해보자. 끝나면 중괄호를 지우고도 출력해보자.